2차 세계대전 초반 까지 영국 보병의 주력 화기는 발사 후 일일이 노리쇠를 당겨줘야 하는 볼트 액션 소총인 '리엔필드 소총' 이었다.




2012-12-21 21;25;32.PNG
 

[1차 세계대전부터 2차 세계대전 까지 반자동 소총도 아닌 볼트 액션 소총치고는 매우 장수 하였다.]




2차 세계대전의 보병 전장은 가히 '기관단총' 들이 전장의 판도를 뒤바꾸는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영국군 상부는 이런 기관단총을 생산하기를 거부했는데 그 이유를 꼽아보자면.


2012-12-21 21;33;35.PNG
 

[젠틀맨? 기관단총 따위는 똥냄새 나는 겁쟁이들이 허둥지둥 도망칠때 한번 갈기고 쓰는 총이다. 우린 신사들이니 그딴건 필요 없음 ㅇㅇ 싸움도 품위 있게 해야지.]



이딴 개병신 같은 소리를 해대는 경우가 허다했다.
그러나 당장 2차 세계대전이 시작되자.


2012-12-21 21;40;42.PNG
 


독일군은 고성능 MP40 기관단총을 대량으로 뿌려 보병들을 무장시킨 후 전격전을 펼쳐댔으니 리엔필드 같은 볼트 액션식 소총으로 무장한 영국 육군이 독일군을 당해낼리 만무했고 이로인해 영국 육군은 멘붕 상태에 빠지게 됬고 뒤늦게 기관단총의 중요성에 대해 깨닫게 되어 미국에 연락을 때리는데.



 

[프랭클린 루즈벨트 '미국 32대 대통령']

여보세요?



[윈스턴 처칠]

벨트형, 나임.



니가 누군대?



나 영국 수상 처칠임.



올ㅋ 그런데 무슨 일?


용건만 말할께, 나치놈들때문에 우리 상황이 좀 쫄리는데 톰슨 기관단총좀 수출해줘.



올ㅋ 그러면 우리야 좋지, 얼마나 보내줄까?



최대한 많이 보내줘.



올 배포 큼, 근데 너 돈은 있음?



전쟁 끝나면 후불로 드림, 콜?



전화 잘못 거셨습니다. [뚜, 뚜, 뚜]



ㅅㅂ


톰슨 기관단총은 대량으로 수입할 만큼 기격이 싼 제품이 아니었기에 얼마 수입하지 못했고 점점 더 전황이 불리해지자 영국 육군은 최대한 싸고 빨리 찍어 낼 수 있는 기관단총의 개발에 착수한다. 그런데 육군 상부가 간과한게 있었다면 기관단총 개발진의 그 누구도 기관단총 이라는 물건을 설계해본적이 없다는 점이었다.
당시의 영국 육군과 개발진의 대화를 예상해보자면.


육군 : 야, 휴대하기 간편하고 생산 단가도 싸면서 쓸만하고 대량으로 빨리 찍어낼 수 있는 기관단총 있으면 쩔지 않겠냐?

개발진 : 그거 죽여주는 생각이네.

육군 : 우리가 이번에 그런 물건 하나 만들어 보려고 하는데 같이 할래?

개발진 : ㅇㅇ 같이 할래, 그런데 어떻게 만들어?

육군 : 그걸 내가 어떻게 알아, 니가 다 해야지.

개발진 : 이 미친새끼가?


현재의 디자이너와 공과생 사이의 대화같은 분위기였다.


 
[우여곡절 끝에 탄생한 결과물 스텐 MK1]


1941년, 엔필드 조병창의 R.V. 쉐퍼드와 해럴드 터핀 기사의 주도하에 독일제 MP28과 MP40을 참고하여 그 구조를 단순화시킨 끝에 값싸고 빨리 대량으로 찍어낼 수 있는 기관단총을 제작하는대에 성공했다. 상당히 단순한 제조 과정에 비해 성능도 나쁜편이 아니라서 스텐 MK1은 가격대비 성능이 매우 우수하다고 할 수 있었는데...  영국 육군은 이것으로 만족하지 못하고 더욱 욕심을 부리기 시작했다.

육군 : 병신아, 전선에 병사가 몇명인데 이 가격으로 보급을 해? 나라 망하는 꼴 보고싶어?

개발진 : 아니 그러면 어떻게...

육군 : 더 싸고 더 간단하게 만들라고 이새끼야!!


 

[잦은 잔고장과 총기 불량으로 인해 전선에서 '배관공의 악몽' 이라 불렸던 스텐 MK2]


상관들의 불호령에 못이겨 개발자들은 가뜩이나 단순한 구조를 더욱 단순화 시키고 가격도 확 낮춰버려 미국돈으로 한자루에 8달러라는 미친 가격에 양산된 스텐 MK2, 얼마나 구조가 단순하고 병신같았는지 프랑스의 한 공장에서 독일군 몰래 레지스탕스에게 보급할 스텐을 찍어내던 도중 시찰나온 독일군 감독관에게 걸렸을때의 일화가 있는데. 당시 독일군 감찰관이 스텐을 보고 했던 말이.

감독관 : 왠 쇠파이프임?

실제로 스텐의 부품을 쇠파이프나 공구로 착각하고 그냥 넘어갔다고 한다.
참고적으로 말하자면 MP40 한자루의 생산단가는 당시 돈으로 약 140달러였다.

쇠파이프나 공업용 스프링을 이용하여 몸통과 완충 스프링을 만드는 등 처음부터 싸고 구하기 쉬운 재료를 바탕으로 만든 데다가, 생산성 올린답시고 이런 저런 부분이 제작도중 대폭 삭제된대다가 전쟁 중반에는 부품의 관리기준마저 고의로 낮춰 불량률이나 하자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일단 수량만 맞추기 위해 그야말로 찍어내는 수준으로 생산되었다.

이걸 전선에서 받은 영국 보병들의 반응은?



 
 
[네 생각에는 이거 총 처럼 보이냐? 내가 보기에는 그냥 쇠파이프 같은데...]


사방에서 총탄이 난무하고 박격포가 떨어지는 전장에서 보병들이 믿을껀 자기가 들고 있는 총과 바로 옆에 있는 동료뿐인데 이 총은 전선에 있는 병사들이 자신의 목숨을 맡길만한 물건이 못되었다.

바로 앞에 적이 들이닥쳐 급한마음에 쏘려고 방아쇠를 당겼더니 탄창이 걸려서 발사가 안된다거나.

존나게 잘 나가다가 갑자기 불발이 된다거나.

흙이나 물이 들어가는 순간 그냥 쇠몽둥이로 전락해 버린다거나.

떨어뜨렸는데 총이 분해된다거나 (엉?)


한 술 더떠서 스텐 MK2는 생산성을 높이겠다는 이유로 전선에서 이걸 들고 싸울 병사들에게 필수나 다름없는 손잡이 를 삭제해 버렸다.

기관단총의 특성상 쉬지않고 퍼붓다보면 점점 총이 뜨거워지기 마련인데 손잡이가 없다니? 급속성 몸체를 잡고 쏘다보면 손바닥에 화상입기 십상.


 

[올바른 스텐 MK2 사격의 예]


병사들은 손잡이가 없다고 미친듯이 불만을 표했지만 정작 육군 상부는 모르쇠로 일관했고 결국 전선의 병사들은


 

[손바닥에 화상 입기 싫어 탄창을 잡고 쏴갈긴다.]

이딴식으로 탄창을 잡고 쏴갈기기에 이르렀고 그로인해 스텐건이 망가지는 가장 큰 이유가 되었다.
그런데 어쩌냐? 이렇게 안쏘면 화상 입는다니까.

결과적으로 말하자면 스텐건은 배관공의 악몽이라 불릴 만큼 병신 소리를 듣는 기관단총 이었지만 정작 전장에서는 할일 다 하고 퇴역한 총이었고 화기가 모자란 프랑스의 레지스탕스들에게 그 경악스러운 간단한 구조로 한줄기 희망이 되어주었던 총이기도 했다.